이슈 인사이트

리퀴드폴리탄, 인구 감소 한국의 ‘지역 소멸’ 해법 될까?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인구 감소와 광역 교통 발달로 지역의 구심력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주인구보다 관계인구에 방점을 찍는 유연도시 리퀴드폴리탄이 주목받고 있다.


리퀴드폴리탄은 대규모로 '짓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주체들을 ‘잇는' 일련의 프로젝트다. 특히, 개성 있는 매력으로 사람을 불러 모으는 '시그너처스토어', 도시를 재해석하며 새롭게 변모시키는 '지역 기업가', 해당 상권과 고객 분석을 통해 공간을 새롭게 탈바꿈하는 '도시 기획자', 지역에 거주하며 자체적으로 활력을 모색하는 '커뮤니티'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로 '양양'을 들 수 있다. 양양은 원래 인구 감소 지역이었다. 하지만 서핑 성지로 인기를 끌면서 주말만 되면 양양 인구의 1.6배에 달하는 젊은이들이 양양으로 몰려들고 있다.


리퀴드폴리탄은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고, 관계인구를 유입시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균형 발전과 지역 소멸을 우려하는 이 시대에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리퀴드폴리탄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지역 활성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리퀴드폴리탄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750cdb143e9976559a07c37a45a1b884_1703813800_8114.jpg

리퀴드폴리탄, 액체와 같이 유동적인 형태를 가진 도시


리퀴드폴리탄(Liquid Cosmopolitan)은 영어 단어 "Liquid"와 "Cosmopolitan"의 합성어로, "액체"와 "세계적인"이라는 뜻을 가진다.


리퀴드폴리탄은 "액체와 같이 유동적인 형태를 가진 세계적인 도시"를 의미한다.


리퀴드폴리탄이라는 개념은 2000년대 초반에 미국의 도시 계획학자 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가 처음으로 제안했다. 플로리다는 인구 감소와 광역 교통 발달로 인해 지역의 구심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주인구보다 관계인구에 방점을 찍는 새로운 도시 모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개성 있는 매력으로 사람을 불러 모으는 '시그너처스토어', 도시를 재해석하며 새롭게 변모시키는 '지역 기업가', 해당 상권과 고객 분석을 통해 공간을 새롭게 탈바꿈하는 '도시 기획자', 지역에 거주하며 자체적으로 활력을 모색하는 '커뮤니티'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로 '양양'을 들 수 있다. 양양은 원래 인구 감소 지역이었다. 하지만 서핑 성지로 인기를 끌면서 주말만 되면 양양 인구의 1.6배에 달하는 젊은이들이 양양으로 몰려들고 있다.




750cdb143e9976559a07c37a45a1b884_1703813870_6064.jpg 


리퀴드폴리탄, 대규모 개발이 아닌 창의적인 주체들을 잇는 프로젝트


리퀴드폴리탄은 대규모의 개발 사업이 아니라, 지역의 창의적인 주체들을 잇는 일련의 프로젝트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고, 관계인구를 유입시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리퀴드폴리탄 프로젝트의 주요 주체로는 개성 있는 시그너처스토어, 지역 기업가, 도시 기획자, 커뮤니티 등이 있다.


개성 있는 시그너처스토어

개성 있는 시그너처스토어는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을 대표하는 명소로 자리 잡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양양의 서핑 성지로 유명한 '서피비치'는 서핑 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시그너처스토어가 자리 잡고 있어, 주말이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지역 기업가

지역 기업가는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경북 봉화의 '봉화산 곶감'은 지역 특산물인 곶감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여, 봉화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품으로 자리 잡았다.


도시 기획자

도시 기획자는 지역의 상권과 고객 분석을 통해 공간을 새롭게 탈바꿈시킴으로써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강원도 원주의 '원주 혁신도시'는 도시 기획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고, 관계인구를 유입시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커뮤니티

커뮤니티는 지역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경기도 안성의 '안성맞춤 3.0'은 지역 주민들이 주도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750cdb143e9976559a07c37a45a1b884_1703813853_5727.jpg


리퀴드폴리탄 사례 양양, 서핑 성지로 인기 끌며 지역 소멸 탈출


인 감구소와 광역 교통 발달로 지역의 구심력이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강원도 양양은 서핑 성지로 인기를 끌며 지역 소멸을 탈출하고 있다.


양양의 연평균 강수량은 1,200mm 미만으로, 서핑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특히, 양양의 서피비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서핑 전용 해변으로, 다양한 서핑 강습과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양양의 서핑 인기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양의 서핑 관련 산업 매출은 2022년 기준 1,000억 원을 넘어섰다. 또한, 양양을 찾는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숙박, 음식점, 쇼핑 등 관련 산업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양양은 서핑 성지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양양군은 2025년까지 서핑 관련 산업을 2,000억 원 규모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서핑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고, 서핑 관련 국제 대회를 유치하는 등 서핑을 양양의 대표 관광 자원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양의 사례는 지역 소멸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역의 특색을 살린 관광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관계인구를 유입시킨다면, 지역 소멸을 막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인구 감소 문제의 해법으로 주목


2023년 기준, 한국의 인구 감소율은 연평균 0.4%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특히, 지방의 인구 감소율은 더 심각하여, 2023년 기준 지방의 인구 감소율은 연평균 1.2%에 달한다.


인구 감소는 지역의 구심력을 약화시키고, 지역 경제를 위축시킨다. 구심력이 약화되면, 지역의 다양한 자원과 기회가 외부로 유출되고, 지역 주민들은 지역을 떠나게 된다. 이는 지역 경제의 악화로 이어져, 지역 소멸을 초래할 수 있다.


리퀴드폴리탄은 이러한 지역 소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리퀴드폴리탄은 대규모 개발이 아닌, 지역의 창의적인 주체들을 잇는 일련의 프로젝트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고, 관계인구를 유입시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750cdb143e9976559a07c37a45a1b884_1703813902_087.jpg
 


지역 소멸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


지역 정체성의 살리기

리퀴드폴리탄은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을 살릴 수 있다. 지역의 정체성이 살아나면, 지역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외부인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다.


관계인구의 유입

리퀴드폴리탄은 지역의 다양한 자원과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관계인구를 유입시킬 수 있다. 관계인구는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소멸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퀴드폴리탄의 발전 방향


리퀴드폴리탄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다양한 지역에서 리퀴드폴리탄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앞으로 리퀴드폴리탄이 성공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리퀴드폴리탄은 지역의 특색을 살린 상품과 서비스의 개발을 통해 지역 정체성을 살리고, 관계인구를 유입시킬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의 참여

리퀴드폴리탄은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역의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리퀴드폴리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정부의 지원

리퀴드폴리탄은 지역 소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리퀴드폴리탄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리퀴드폴리탄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지역 활성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앞으로 리퀴드폴리탄이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슈 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