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트렌드

STO란 무엇인가? 증권형 토큰 발행의 모든 것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STO는 Security Token Offering의 약자로 ‘증권형 토큰 발행’을 뜻한다. STO는 증권의 특성을 가진 토큰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증권형 토큰은 증권법에 따라 발행되고 거래되며, 투자자 권리가 보호받는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거래의 투명성 및 안전성에 강점을 보인다. 또 주식처럼 쪼개 살 수 있어 소액 투자자도 쉽게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


한국의 STO는 초기 단계에 있지만, 부동산, 미술품, ESG 채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의 STO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4186b417ad9855749d0028710f6e39a5_1703603230_0393.jpg


토큰증권발행(STO) 거래 과정

  1. 발행자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기 위해 증권법에 따라 필요한 서류를 작성하고 심사를 받는다.
  2. 발행자는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선택하고, 토큰의 발행량, 가격, 기간 등을 결정한다.
  3. 발행자는 토큰을 발행하고, 투자자에게 토큰을 판매한다. 투자자는 토큰을 구매하고, 토큰에 대한 수익이나 소유권을 얻는다.
  4. 발행자는 토큰의 발행과 거래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투자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한다.


STO가 주식, 채권, 펀드에 보다 유리한 장점


첫째, 소액 투자자의 참여가 늘어난다.
STO는 증권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주식, 채권, 펀드와 마찬가지로 증권거래소에 상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액 투자자도 STO에 참여할 수 있다.


둘째, 거래가 투명하고 안전하다.
STO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거래의 투명성과 안전성이 강화된다. 블록체인 기술은 거래 내역을 분산 저장하기 때문에, 조작이나 위조가 어렵다.


셋째, 자금 조달이 편리하다.
STO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전 세계 어디에서나 쉽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자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다.



STO 거래에 한계도 있다


STO는 증권법에 따라 발행되고 거래되지만, 증권형 토큰에 대한 규제는 아직 미흡하고 불확실하다다. 각 국가별로 증권형 토큰에 대한 정의와 범위가 다르며,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기술적 문제도 있다. STO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블록체인의 한계와 위험도 STO에 영향을 준다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의 보안, 확장성, 호환성 등의 문제가 STO의 성공을 저해할 수 있다.



STO 분야의 전망


현재 미술품, 부동산, 특허권, 저작권 등 실물 자산을 토큰화하여 발행하는 STO에 대한 관심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도 2022년 12월 ‘전자증권법’ 개정으로 STO의 발행과 유통에 대한 규제가 마련되어 활성화 기대된다.


4186b417ad9855749d0028710f6e39a5_1703603275_3945.jpg
 


STO 관련주 전망


STO 관련주는 ‘조각 투자 시장’의 활성화에 따라 주가 상승이 기대된다. 특히, 미술품 경매업체, NFT 플랫폼 운영업체 등 STO 관련 사업을 준비하거나 추진 중인 기업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STO 산업 어디까지 왔나


한국에서는 2022년 12월에 「전자증권법」이 개정되면서 STO의 발행 및 유통에 대한 규제가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STO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진행된 STO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열매컴퍼니의 투자계약증권 1호
열매컴퍼니는 2023년 3월에 100억원 규모의 투자계약증권 1호를 발행했다. 이 투자계약증권은 부동산 개발 사업에 투자하는 증권으로, 6개월 만기 10%의 수익률을 보장한다.


▲ 케이옥션의 미술품 NFT STO
케이옥션은 2023년 5월에 미술품 NFT STO를 진행했다. 이 STO는 케이옥션이 보유한 미술품 NFT 100개를 1인당 1개씩 판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 신한금융투자의 ESG 채권 STO
신한금융투자는 2023년 7월에 ESG 채권 STO를 진행했다. 이 STO는 신한금융투자가 발행하는 200억원 규모의 ESG 채권을 STO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사례들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의 STO는 초기 단계에 있지만, 부동산, 미술품, ESG 채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국의 STO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테크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