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트렌드

오픈AI가 그리는 AI반도체 글로벌 프로젝트..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어떻게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으로 AI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챗GPT 개발사로 잘 알려진 오픈AI가 자체 AI 반도체 생산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7년까지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119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2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은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의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견인될 것으로 보인다.


오픈AI의 AI 반도체 글로벌 프로젝트는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AI 반도체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190655c49db13fdf7d2ed1d9c63630c0_1706322143_3711.jpg


오픈AI의 AI 반도체 글로벌 프로젝트 추진 배경


오픈AI는 AI 반도체의 안정적 조달과 기술 표준화를 위해 글로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오픈AI의 이러한 결정은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 AI 반도체 수요 급증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의 활용이 확대됨에 따라 AI 반도체의 수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7년까지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119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2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 기술 난도 높은 AI 반도체


AI 반도체는 기존 반도체와 달리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설계 및 제조 기술이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오픈AI는 자체 생산시설을 구축함으로써 AI 반도체의 안정적인 공급과 원가 절감을 도모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 AI 반도체 기술 표준화


현재 AI 반도체 시장은 다양한 기업들이 각자의 기술을 가지고 경쟁하고 있다. 이로 인해 AI 반도체의 호환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고, 시장의 성장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오픈AI는 AI 반도체의 설계 및 제조에 필요한 기술을 개방하고,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해 AI 반도체 기술의 표준화를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AI 반도체 글로벌 프로젝트 투자자들


오픈AI의 AI 반도체 글로벌 프로젝트에는 몇 곳의 전략 투자자가 참여했다.


아부다비 AI 기업 G4

아부다비 정부의 주도로 설립된 AI 기업으로, AI 반도체 개발 및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G42는 이번 투자를 통해 오픈AI의 AI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을 지원하고, AI 반도체 시장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글로벌 IT 기업으로, 오픈AI의 주요 투자자다. 소프트뱅크 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오픈AI의 AI 반도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AI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오픈AI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도 AI 반도체 공급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투자 규모

G42와 소프트뱅크 그룹의 투자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소프트뱅크 그룹은 오픈AI의 지분 10%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오픈AI의 기업 가치가 약 1000억 달러에 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90655c49db13fdf7d2ed1d9c63630c0_1706322175_5806.jpg


오픈AI의 AI 반도체 개발과 생산 어떻게


오픈AI는 AI 반도체의 설계와 생산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 AI 반도체 설계


오픈AI는 자체적으로 AI 반도체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오픈AI는 2023년 1월, GPT-4 터보 모델을 출시하면서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설계와 생산을 분리하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설계와 생산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AI와 협력 중인 설계 업체로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다.


엔비디아

그래픽 처리 장치(GPU)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AI 반도체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AI 반도체 공동 개발을 위한 협약을 오픈AI와 체결했다.


마이크론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마이크론은 오픈AI와 AI 반도체 설계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생산 협의


오픈AI는 AI 반도체 생산을 위해 대만 TSMC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TSMC는 세계 최대의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로, AI 반도체 양산을 위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오픈AI는 TSMC 외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과도 AI 반도체 공급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AI 반도체 설계 기술을 자랑한다.




190655c49db13fdf7d2ed1d9c63630c0_1706322194_2767.jpg


오픈AI AI 반도체의 경쟁사


오픈AI 반도체의 주요 경쟁사로는 협력사이기도 한 엔비디아, AMD,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꼽힌다. 엔비디아와 AMD는 오픈AI와 협력을 통해 AI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고 있지만, 동시에 경쟁 관계에 있다.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의 선두주자로, AMD는 엔비디아의 점유율을 잠식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엔비디아


그래픽 처리 장치(GPU)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AI 반도체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엔비디아는 자체적으로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오픈AI와도 AI 반도체 공동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AMD


CPU와 GPU를 모두 생산하는 기업으로, AI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AMD도 오픈AI와 AI 반도체 공동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 했지만 자체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 삼성전자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AI 반도체 개발을 위해 2023년부터 2026년까지 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삼성전자는 자체적으로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오픈AI와도 AI 반도체 공급을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 SK하이닉스


AI 반도체 개발을 위해 2023년부터 2025년까지 5000억 원을 투자한다. SK하이닉스도 오픈AI와 협력을 추진하고 있지만 자체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AI 반도체 설계 기술과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오픈AI와의 협력을 통해 AI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테크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