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트렌드

국내선 삼성·현대차, 해외선 MS·오픈AI가 투자.. 휴머노이드 로봇 어디까지 왔나

작성자 정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챗GPT 성공을 만들어 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가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스타트업에 투자한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은 MS가 약 9500만 달러(약 1200억원), 오픈 AI가 500만달러(약 66억원)를 피규어AI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피규어AI는 인간이 하는 육체 노동을 대신할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과 보급화를 추진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기술적, 사회적, 윤리적 측면의 과제들을 해결하고, 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된다면, 휴머노이드 로봇은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b413c425f25b84b68d492437d40cdcb1_1706747637_3701.jpeg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과 닮은 외형과 동작을 가진 로봇을 말한다. 인간과 유사한 외형과 동작을 통해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크게 산업용, 의료용, 서비스용으로 구분된다.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공장이나 물류센터 등에서 인간을 대신해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의료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환자의 간병, 수술 보조, 재활 치료 등에 활용된다. 서비스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호텔, 백화점, 병원 등에서 고객 응대, 안내, 청소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휴머노이드에 투자 몰리는 이유


휴머노이드 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투자가 몰리고 있다.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제조업의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의료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서비스용 휴머노이드 로봇은 고객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어디까지 왔나


휴머노이드 로봇은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기술적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지능과 행동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대표적인 휴머노이드 로봇으로는 미국의 '스타시티즌', 일본의 '아미', 중국의 '샤오웨이' 등이 있다. 이 로봇들은 사람과 같은 걸음걸이를 할 수 있고, 물건을 집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한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투자 현황


한국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3년 9월, 국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인 '휴보'를 개발한 레인보우로보틱스에 590억원을 투자했다.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반도체 생산 공정, 물류,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자동차그룹은 2020년 미국의 4족 보행 로봇 기업인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보스턴다이내믹스의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로봇을 개발하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그룹은 2023년 10월, 협동로봇 기업인 한화로보틱스를 설립했다. 한화로보틱스는 산업용 협동로봇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다.



b413c425f25b84b68d492437d40cdcb1_1706747655_3385.jpeg


MS·오픈AI에 구글, 테슬라 가세


마이크로소프트(MS)는 2023년 12월, 인공지능 연구 기업 오픈AI에 10억 달러를 투자했다. MS는 오픈AI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술을 활용해 자사의 로봇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픈AI는 2022년 8월, 휴머노이드 로봇 '플래닛'을 공개했다. 플래닛은 사람과 같은 걸음걸이를 할 수 있고, 물건을 집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구글도 2022년 8월, 휴머노이드 로봇 '치타'를 공개했다. 치타는 플래닛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테슬라도 옵티머스라는 이름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이다. 옵티머스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지만, 완성되면 제조, 물류,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추어리AI는 포닉스라는 이름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포닉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성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과제


휴머노이드 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투자와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사회적, 윤리적 측면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 기술적 측면


기술적 측면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지능과 행동 능력을 더욱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AI 기술의 발전을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은 사람의 지시를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센서 기술과 제어 기술도 더욱 발전해야 한다. 이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은 주변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사회적 측면


사회적 측면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안전성과 윤리성을 확보해야 한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과 함께 일하고 생활하게 될 경우,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적 규제와 사회적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논의도 필요하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거나, 인간의 감정을 대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윤리적 측면


윤리적 측면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과 함께 생활하게 될 경우, 인간과 휴머노이드 로봇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인간과 동등한 존재로 볼 것인지, 아니면 인간의 도구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감정이나 의식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테크 트렌드